2014. 1. 23. 23:08 알아두면/맞춤법
케익과 케잌 [명사] ‘케이크(cake)(밀가루, 달걀, 버터, 우유, 설탕 따위를 주원료로 하여 만...)’의 잘못. 차이점 케익과 케잌은 일반적으로 생각하게 되는 케이크를 뜻하는 단어들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중 올바른 표현은 어떤 것일까요? 개인이의 경우 케익이라고 표현을 하는데, 올바른 표현은 케익과 케잌 모두 틀린 표현입니다. 케익과 케잌은 케이크로 표현해야 합니다. 맞춤법 검사기를 통해서도 이를 확인 할 수 있는데 케이크를 줄이면 케잌이 되는데 외래어 표기법상 받침 규정은 7개의 (ㄱ,ㄴ,ㄹ,ㅁ,ㅂ,ㅅ,ㅇ) 자음을 쓰도록 되어 있다는 이유로 케잌을 케익이라고 표기한다는 내용도 있는데 올바른 표현은 케이크로 하셔야 합니다. 뭐..어떤 단어를 사용하든 의미는 통하기에 문제는 없겠지만 이왕이면 올바..
2014. 1. 22. 11:30 알아두면
절대평가 [요약] 학생의 학업성취도(學業成就度)를 어떤 절대적인 기준에 비추어서 평가하는 방법 상대평가 [요약] 개인의 학업성과를 다른 학생의 성적과 비교하여 집단내에서의 상대적 위치로 평가하는 방법 출처 : 네이버 사전. 평가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라는 말을 들어 보신 적이 있으실겁니다. 대학 시절에 교수님께 절대평가인지 상대평가인지 물어 보는 경우도 많았는데, 알게 모르게 종종 사용되어지는 용어들이기에 의미를 알고 사용하신다면 좀 더 풍성한 언어 표현이 되리라 생각해 봅니다. 절대평가는 일정한 기준이 있어서 이 기준에 비추어 평가를 하는 방법입니다. 시험을 예로 들면, 100점 만점에 90점까지는 A학점을 주고, 70점 까지는 B 학점이라면, 절대평가에서는 누구나 90점 이상이 되면 A학점을 받을 수가 ..
2014. 1. 20. 12:30 블로그 관련/수익 관련
수익 공개 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수익이 발생한 이후 지속적으로 수익을 공개하고 있는데, 2013년 10월 부터 수익 공개를 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못했다기 보다는 안했다라고 하는게 더 정확하겠네요. 사실 수익 공개를 한다고 해서 볼 사람이 있을까? 라는 생각도 들기는 하지만 무엇보다도 수익 공개를 통해 전하고자 하는 내용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매번 수익 공개를 할 때마다 똑같은 내용이어서(대부분 수익금 공개 말고는 없었기에) 포스팅을 해야하나? 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10월 수익공개 10월 구글 애드센스 수익은 지난 9월과 비슷한 수준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9월 수익금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관련글을 통해 확인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구글 애드센스 수익공개 / 9월 수익 현재 포스팅 하고 있는 날짜..
2014. 1. 17. 20:26 알아두면/맞춤법
부서지다 [동사] 1. 단단한 물체가 깨어져 여러 조각이 나다. 부숴지다 [동사] ‘부서지다’의 잘못. 출처 : 네이버 사전 차이점 '부서지다'와 '부숴지다' 이 중 올바른 표현은 '부서지다'입니다. '부서지다'는 '부수다'라는 의미에서 출발이 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부서지다'와 '부숴지다' 모두 복수 표준어로 볼 수도 있겠지만 표준어 규정 제2장 제4절 제17항에 따라 발음이 비슷한 형태 여럿이 아무런 의미차이가 없이 함께 쓰일 때에는 그 중 널리 쓰이는 한 가지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도록 한다는 규정에 의해 '부서지다'를 표준어로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부서지다'와 '부숴지다' 모두 표준어로 삼으면 혼동만 야기하는 것이 되기에 '부서지다'만을 표준어로 삼은 것입니다. 반면에 '부셔버..
2014. 1. 16. 13:59 알아두면/맞춤법
뜨리다 [접사] ‘강조2’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트리다 [접사] 같은 말 : -뜨리다. 출처 : 네이버 사전 차이점 '뜨리다'와 '트리다'의 사용은 강조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접미사입니다. 예문을 보면 '깨뜨리다'와 '깨트리다' , '빠뜨리다'와 '빠트리다' 등에서 사용이 될 수 있는데, 각각의 의미에서 올바른 표기법은 둘 다 올바른 표현이 됩니다. 즉 '뜨리다'와 '트리다'로 사용되는 단어 모든 표준어로 인정이 됩니다. 표준어 규정 제26항을 통해서 이를 복수 표준어로 지정하고 있는데, '뜨리다'와 '트리다'의 사용에 있어서 둘 다 올바른 표현이라는 점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2014. 1. 15. 11:00 블로그 관련
애드디스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애드디스를 활용한 블로그 꾸미기를 해보았는데 관련글을 보기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하시기를 바랍니다. 애드디스를 활용하여 블로그에 SNS 구독 버튼을 달아보자. 이번 포스팅도 애드디스를 활용한 공유 버튼인데, 말 보다는 이미지를 통해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아래 보시는 바와 같이 공유 버튼이 보이시는데 위치가 우측 상단에 자리잡게 됩니다. 아이콘도 깔끔하고, 위치 또한 상단 가장자리에 있어서 깔끔함을 좋아 하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소스 얻기 애드디스 바로가기 위의 링크를 통해 애드디스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기본적으로 소스를 얻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하셔야 합니다. 이후 우측 상단에 보이는 Get the Code 항목을 클릭합니다. Get the Code 항목을 ..
2014. 1. 14. 11:00 인터넷 정보
페이스북 페이스북의 경우 다른 sns와는 달리 나만의 아이디가 생성되지 않고 랜덤으로 조합된 일련번호가 생성이 됩니다. 트위터의 경우 트위터 주소 뒤에 나만의 고유 아이디를 입력하면 해당되는 주소로 바로 이동이 되어지는데, 페이스북의 경우는 일련번호를 모두 기억하고 있지 않는 이상 검색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아래 페이스북 주소창을 보시면 일반적으로 아이디로 보여지는 부분이 일련번호로 나오는 것을 확인 하실 수가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다보면 길고 긴 ~ 일련번호도 외워지겠지만 너무 스마트 하지 못한 생각이 드네요 ^^;; 페이스북에서 나만의 아이디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을 하신 후 우측 상단에 보이는 톱니바퀴 항목을 클릭하여 줍니다. 클릭 후 계정 설정 항목을 선택하여 줍니다. 계정설정 항목을 통..
2014. 1. 13. 11:30 블로그 관련
내 링크 티스토리에서 이웃의 개념은 링크 입니다. 이전부터 이웃 개념이라고 볼 수 있는 링크 부분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였는데, 이웃 관리가 네이버 보다는 부족한 느낌이기에 사소한 부분 하나라도 관리가 필요합니다. 티스토리 만의 내 이웃 개념을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관련글을 통해 살펴 보시기를 바랍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내 이웃(링크) 새 글 쉽게 확인하기 티스토리 링크 목록 꾸며 보기 티스토리만의 기능으로 이웃 관리를 해보자. 오늘 포스팅 할 내용은 사실 별다른 내용은 없습니다. 이게 뭐야? 하실 수도 있는데 개인이의 경우 나름 활용하고 있는 부분이기에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내 링크 순서 변경하기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링크 추가(이웃 추가)를 하다보면 어느새 쌓여가는 링크 목록을 보실 수가 있..
2014. 1. 12. 10:30 알아두면
이상과 이하 요즘은 언제 배우는지 잘 모르겠지만 개인이의 경우 초등학교 시절에 '이상'과 '이하'라는 개념을 배웠던 것으로 기억납니다. 선을 하나 그어놓고 했던 기억이 있는데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네요. '이상'과 '이하'의 개념은 실생활에서도 종종 사용되며 놀이기구 등과 같은 시설에서도 종종 볼 수가 있습니다. 간혹, 놀이기구 이용시 '신체 140cm 이상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놀이기구 이용시 '7세 이하 어린이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 등과 같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일정한 수량을 기준으로 그 기준보다 수량이 많다거나 적다는 것을 나타낼 경우 '이상'과 '이하' 또는 '초과'와 '미만'의 용어를 사용하는데, '이상'과 '이하'의 경우는 '기준을 포함' 합니다. 앞서 예를 든 신체..
2014. 1. 11. 00:00 알아두면
모집인원 이전에 개그콘서트 '오성과한음'이라는 코너를 통해서 사용되었던 개그 소재였는데, 모집인원 0명 이라는 안내 문구를 보고서 '뽑지도 않을거면서 왜 면접을 보는냐?' 라는 식으로 개그를 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0'이라는 숫자는 제로의 형태이기 때문에 모른다면 충분히 그렇게 말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채용 등의 이유로 공고를 내릴 때에 정해진 숫자, 예를 들어 1명, 2명 과 같이 인원수의 제한을 두지 않고 필요여하에 따라 모집을 하고자 할 때에는 모집인원 0명과 같은 공고를 사용합니다. 모집인원 0명일 경우에는 1~9 명 까지 채용할 여지가 있다는 내용입니다. 다시 말해서 한자리 수 안에서는 채용의 가능성이 있다는 말입니다. 모집인원 00명 일 경우에는 채용인원..